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생활정보

임신 출산 보육 생계 실직 한부모 다문화 도움 받을 수 있는 정부기관 연락처 총정리

반응형

정부기관은 많겠지만 정작 국민들이 어렵고 힘들 때는 어디에 도움을 청하고 문의를 해야하는 지 막막할 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임신 출산 보육 생계 실직 한부모 다문화 등 복지 관련하여 어려움을 겪고 계신 분들이 문의하고 도움 받을 수 있는 정부기관을 총정리해 보겠습니다.

 

 

임신 출산 보육 생계 실직 한부모 다문화 지원 정부기관

 

보건복지부 보건복지상담센터 📞 129

홈페이지 : 129.go.kr

 

보건복지부 보건복지상담센터는 영상(수화)상담과 채팅상담도 해줍니다. 홈페이지 방문하셔서 영상(수화)상담이나 채팅상담을 이용해 보셔도 좋을 것 같아요.

 

 

보건복지부 보건복지상담센터에서

도움 받을 수 있는 상황 모음

 

  • 생계 유지가 힘들 때 = 맞춤형 기초생활보장제도(생계 의료 교육 급여 관련)
  • 생계가 어려운 분들이 일자리를 원할 때 = 희망키움통장, 청년희망키움통장
  • 갑작스런 위기상황 발생 = 긴급복지 지원제도
  • 임신 출산 시의 경제적 도움 = 출산비용 지원,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등
  • 아이 보육 관련 도움 = 보육료 지원, 아동수당 등
  • 어린 자녀 건강관리 도움 = 저소득층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
  • 자녀 교육비가 부담될 때 = 기초생활보장(교육급여)
  • 아동 청소년에게 보호나 지원이 필요할 때 = 아동통합서비스지원
  • 의료비 부담을 덜고 싶을 때 = 의료급여 제도, 건강보험 차상위, 재난적 의료비 지원
  • 치료가 어려운 질환을 앓고 있을 때 = 암환자(희귀질환자) 의료비 지원
  • 장애로 인해 생활이 곤란할 때 = 장애아동수당, 장애인연금 등
  • 어르신이 도움이 필요 하실 때 = 기초연급,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등
  • 정신건강에 도움이 팔요할 때 = 알코올중독자 사례관리사업 등

 

 

전세 월세 등 주택문제 지원 문의

 

 

가족이 특별한 상황에 처했을 때

여성긴급전화는 365일 24시간 운영하고 있다고 합니다. 가정폭력, 성폭력, 성매매, 스토킹, 교제폭력 등 폭력 피해자로 긴급하게 구조, 보호, 상담이 필요한 경우 한 밤중에도 전화해서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하니 참고해주세요. 긴급피난처를 제공하고 각 지역의 정부기관, 경찰, 병원, 법률기관과 연계하여 피해자를 지원해 준다고 합니다.

 

여성가족부 여성긴급전화 1366

 

 

한부모가족 지원 상담 - 여성가족부 가족상담전화 1644-6621

 

 

무료 법률 상담

 

 

노인학대 신고 상담

 

 

한부모 조손가구가 도움이 필요할 때

  • 미혼모/부 초기지원,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지원 등 = 여성가족부 한부모 상담전화  📞1644-6621
  • 청소년 한부모 고교생 교육비 지원 = 여성가족부 민원안내  📞02-2100-6000

청소년 한부모 자립 지원정책에 대한 내용은 여성가족부 홈페이지 정책기자단 게시글을 참고해주세요. 복지로 홈페이지에서도 지원 내용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가족부 청소년 한부모 지원 정책 자세히보러가기

복지로 한부모 가족자녀 교육비 지원 정책 자세히보러가기

 

 

 

아동 청소년 보호 및 학대피해 

 

 

자녀 교육비 지원 문의

 

 

실직 생계 일자리 지원 문의

 

 

재정적 도움이 필요할 때

  • 서민금용대출상담 = 서민금융진흥원 통합콜센터 📞 1397
  • 국민행복기금 채무조정 = 국민행복기금 통합콜센터 📞 1588-3570
  • (경기도) 서민금융복지 지원센터 채무상담 = 경기도 서민금융복지지원센터 📞 1899-6014

 

 

다문화 탈북민 가구 지원 문의

  •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서비스 등 = 다누리 콜센터 📞 1544-136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