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생활정보

49제계산 방법, 49제 의미, 49제 시간

반응형

49제 제사는 불교식 제사의식 중 하나인데요.

 

평소에 들어보긴 했지만 실제로 49제를 지내야 하는 상황이 오면 49제가 어떤 의미 인지, 고인이 돌아가시고 몇일째 될 때 제사를 지내야 하는지 몰라서 알아보게 되지요.

 

그래서 오늘은 간단하게 49제의 의미와 49제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49제 의미

불교에서는 고인이 49일 동안 저승에 머물면서 일곱 대왕들에게 7일마다 심판을 받는다고 합니다. 그리고 49일이 되는 날에 최종 심판을 받은 후 환생을 한다고 해요. 그래서 일곱대왕들에게 심판을 받는 날인 7일 째가 되는 날마다 재를 지내는 것이 49재 입니다. 49일 동안 총 7번의 제사를 지내면서 고인이 일곱대왕들에게 심판을 잘 받아서 좋은 생을 받길 기도하는 것입니다.

 

 

49제 계산

49제를 계산할 때 가장 헷갈리는 부분은 '돌아가신 당일을 1일로 계산하는게 맞나?' 입니다.

결론은 맞다!입니다.

 

초재 : 돌아가신날 기준으로 7일째 되는 날

이재 : 돌아가신날 기준으로 14일째 되는 날

삼재 : 돌아가신날 기준으로 21일째 되는 날

사재 : 돌아가신날 기준으로 28일째 되는 날

오재 : 돌아가신날 기준으로 35일째 되는 날

육재 : 돌아가신날 기준으로 42일째 되는 날

칠재(49재) : 돌아가신날 기준으로 49일째 되는 날

 

 

49제 계산 예시

 

돌아가신 날 : 6월 1일

초재 : 6월 7일

이재 : 6월 14일

삼재 : 6월 21일

사재 : 6월 28일

오재 : 7월 5일

육재 : 7월 12일

칠재(49재) : 7월 19일

 

 

 

49제 제사 시간

제사는 주로 밤에 지내지만, 49재는 해가 떠 있는 아침 시간에 지내는데요. 가족이 모이는 시간이 아침이 어렵다면 해가 떠있는 오후에 지내도 상관없다고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