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이나 금융기관에 제출하는 용도가 아닌 일반용 인감증명서를 9월 30일부터 정부24에서 무료로 인터넷발급 가능해요.
정부24에서 인터넷발급 가능한 일반용 인감증명서
모든 인감증명서가 정부24에서 인터넷발급 가능한 것은 아니니 아래 내용 중 발급 가능한 인감증명서 종류를 잘 확인해주세요!
재미로 알아보는 인감증명서 역사 인감증명서는 1914년에 처음 생겼는데요. 인감증명서가 처음 생겼을 때 부터 지금가지 무려 110년 동안 방문 발급만 가능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너무했네... 한국은..,인터넷 강국인데... 더 놀라운 건 2023년 한 해 동안 인감증명서 발급 건수가 무려 2,984만통이나 되었다고 해요. 이렇게나 발급량이 많은데 여태 인터넷 발급을 안해주었다니.. 어찌되었든 이제라도 편하게 인터넷발급 받을 수 있게 해준다고 하니 인감증명서 발급받으러 주민센터 방문 안해도 되서 편해질 것 같아요. |
인감증명서 발급용도
인감증명서 발급용도는 크게 3가지가 있어요. 부동산 매도용, 자동차 매도용, 일반용으로 구분되요. 이중 일반용으로 발급하는 경우가 가장 많아요.
일반용 인감증명서는 법원 제출용(송무, 부동산 등기, 채권 담보 설정, 공탁 신청, 집행 등), 금융기관 은행 제출용(예금, 대출, 보험, 증권 등의 거래), 행정기관 제출용(면허 신청, 경력 증명, 보조사업 신청 등)으로 사용되요.
인감증명서 인터넷발급 비용
지금은 주민센터 방문해서 인감증명서를 발급받을 때 일부 대상을 제외하고는 1통 당 600원을 내야 했어요.(국가유공자 등의 유족 중 선순위자가 부모인 경우 부모 중 1인만 면제)
그런데 앞으로는 정부24를 통해 인터넷발급 시 누구나 무료로 발급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인감증명서 인터넷발급 신청대상
주민센터 방문해서 인감증명서를 발급받을 때는 본인 또는 대리인도 신청이 가능해요. 정부24를 통해 인터넷발급을 원할 경우는 본인만 신청가능합니다.
인터넷발급 가능한 인감증명서 종류
일반용 인감증명서 중 법원이나 금융기관 은행에 제출하는 용도를 제외하고, 면허 신청, 경력 증명, 보조사업 신청 등 행정기관 제출용인 경우에만 정부24 발급이 가능해요.
인감증명서 인터넷발급 방법
(1) 정부24 홈페이지(www.gov.kr) 로그인
(2) 인감증명서(전자민원창구용) 발급 선택
(3) 인감증명서 신청
발급용도, 제출처 입력
(4) 인감증명서 발급 완료
* 인감증명서 발급 사실은 휴대전화 문자 등으로 본인에게 통보해줌.
인감증명서 인터넷발급 위변조 검증방법
정부24 홈페이지 또는 정부24 앱에서 인감증명서 문서번호(인감증명서 상단에 있는 16자리 번호)를 입력하면 진짜인지 가짜인지 진위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고 합니다. 정부24 앱이나 스캐너용 문서확인 프로그램으로 바코드를 스캔해서 진짜 인감증명서인 지를 확인하는 3단 분할 바코드도 도입된다고 해요.
인감증명서 발급 시 신분확인증 종류
지금은 주문등록증, 운전면허증, 장애인등록증, 여권, 외국인등록증, 국내거소신고증만 가능해요. 9월 30일 부터는 국가보훈등록증도 인감증명서 발급 받을 때 신분확인을 위해 사용할 수 있게 추가된다고 하니 참고해주세요.
[참고]인감증명서 양식
인터넷발급 인감증명서 양식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를 참고해주세요!
출처 : 행전안전부
'유용한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도약계좌 조건 내용 총정리(대상 신청기간 정부기여금 신청방법) (1) | 2024.11.07 |
---|---|
인감증명서 효력과 동일한 본인서명사실확인서 무료 발급 (1) | 2024.07.30 |
전세 대출 갈아타기 가능한 기간이 2024년 6월부터 늘어났어요 (0) | 2024.07.04 |
강의 발표에서 활용하기 좋은 짧은 명언 모음 (0) | 2024.07.01 |
실손보험(실비보험) 비급여 수령액에 따라 300% 할증 대상 조건 (0) | 2024.07.01 |